우리의 뇌는 상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한다
우리의 뇌는 믿을 수 없을 만큼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다. 상상만으로도 현실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언뜻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몇 가지 사례만 보면 쉽게 납득이 될 것이다.
1. 상상만으로도 신체 반응이 나타난다
레몬을 떠올려보자. 레몬을 반으로 자르고 즙이 흘러내리는 장면을 상상하면 신맛이 느껴지고, 입안에 침이 고이는 경험을 하게 된다. 실제로 레몬을 본 적도, 먹은 적도 없는데도 몸은 이렇게 반응한다. 이는 뇌가 상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2. 가상 현실(VR)은 왜 그렇게 몰입감이 높을까?
가상 현실 헤드셋을 쓰고 높은 곳을 걷는 시뮬레이션을 해본 적 있는가? 높이에서 오는 두려움 때문에 발이 떨리고 손바닥에 땀이 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뇌는 그것이 단순한 시뮬레이션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실제 상황처럼 받아들인다.
3. 영화는 왜 우리를 울게 만들까?
슬픈 영화나 스릴러를 보면서 울컥하거나 긴장한 적 있을 거다. 스토리가 허구라는 걸 알면서도 눈물이 나거나 심장이 두근거린다. 뇌는 화면 속 이야기를 진짜처럼 받아들이고 감정을 활성화시킨다.
4. 플라시보 효과는 어떻게 가능할까?
가짜 약을 먹고도 실제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뇌가 "이 약이 나를 낫게 해줄 거야"라고 믿으면서 몸에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5. 운동을 상상하면 근육이 반응한다
특정 운동을 상상만 해도, 해당 근육에서 실제로 전기적 활동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운동을 하지 않았는데도 뇌는 운동했다고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6. 꿈에서 겪은 일들이 남기는 흔적
꿈속에서 뛰거나 넘어질 때, 심장이 빨리 뛰고 근육이 긴장되는 걸 느낀 적 있을 거다. 뇌는 꿈속 상황을 실제로 겪는 것처럼 받아들인다.
7. 거울 신경 세포가 만들어내는 공감
다른 사람이 아파하는 모습을 보거나 상상하면, 내가 그 고통을 겪는 것처럼 반응할 때가 있다. 이건 뇌의 거울 신경 세포(Mirror Neurons)가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나는 이 원리를 목표 설정에 활용한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우리의 뇌는 상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한다. 이 강력한 특성을 목표 설정과 습관 형성에 활용하면 놀라운 결과를 만들 수 있다.
뇌를 속이기 위해 가장 먼저 목표를 상상한다. 그리고 매일 그 목표를 떠올리면서 행동한다. 지금 바로 각자 자신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상상해보라. 매일 그것을 떠올리고, 작은 행동으로 옮겨보자. 결국 우리의 뇌는 그 상상을 현실로 받아들여 줄 것이다.